다양한 지역정착 및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라
상태바
다양한 지역정착 및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라
  • 권민정 기자
  • 승인 2020.09.16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pecial report / 귀농 청년을 만나다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인해 지방은 점점 활기를 잃어가고 있으나, 반면에 삶의 행복을 찾아 도시의 각박한 삶을 벗어나 대안적인 삶을 모색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 이를 위해 정부가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부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쇠퇴하는 지방에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주민이 직접 주도하는 공유경제 플랫폼을 조성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국민참여 공모사업이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소멸에 대응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청년들이 살기 좋은 마을을 구축하고, 주민들이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로 스스로 참여해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는 다함께 잘사는 마을만들기에 참여할 국민사업자를 전국 소재 민간단체를 대상으로 경쟁입찰방식을 통해 공개모집했다.

청년들이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사업은 청년들이 지방에서 살아갈 방법을 고민하는 지역살이 실험을 지원하는 것으로 올해 말까지 9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사업참여 희망자는 지역에서 살아가며 유휴공간을 새로운 커뮤니티 공간으로 조성하고 주민들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청년들의 지역정착을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에도 목포에 60명의 대도시 청년들을 유입시켜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괜찮아 마을을 조성해 30여 명의 청년들이 취창업을 통해 지역에 정착하는 시범사업을 펼쳐온 바 있다.

다함께 잘사는 공동체 만들기사업은 공동체 붕괴 등으로 사라져가는 지방도시에 주민들이 유휴·저활용 시설을 활용해 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을 재설계하는 사업으로, 예산 8억 원이 지원되었다. 사업 참여 희망자는 빈집이나 폐교, 폐창고 등 버려진 자원을 활용해 자원순환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공유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주민의 기본소득 창출을 통해 부가가치를 공유하는 전환도시 모델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한편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도 있다. 행정안전부가 만 39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지자체가 원하는 청년일자리 사업을 만들면 행정안전부가 이를 지원하는 방식의 일자리사업이다. 행정안전부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총 7만 명 이상의 청년일자리를 지원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2018년 처음 시작된 청년일자리 사업으로 201811,056, 201935,447명의 청년이 참여했다. 올해도 역시 지역정착지원형, 창업투자생태계조성형, 민간취업연계형 등 3가지 유형의 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취·창업을 통한 경력형성과 역량 개발을 지원한다.

유형별로 목적에 차이가 있다. 지역정착지원형은 지역기업에 청년일자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정착 유도가 목적이며, 창업투자생태계조성형은 임대료나 교육 등 창업지원이나 고용친화적 생태계 조성을 지원해 청년 유입을 유도한다. 민간취업연계형은 지역사회서비스 일을 하며 경험과 경력을 형성한 후 향후 민간기업 취업과 연계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러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과연 소멸위기에 처한 지방과 대안적인 삶을 추구하는 청년들에게 어떤 희망을 주었을까? 다음에 나올 이야기들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보자.

| 권민정 객원기자 jungbeatuy20@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