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책임회피 ‘면죄부’ 아니다
상태바
기업 책임회피 ‘면죄부’ 아니다
  • 한경리크루트
  • 승인 2003.08.11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VER STORY


기업 책임회피 ‘면죄부’아니다


‘급속한 기술발전과 산업구조 고도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기업 대학간의 산학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청년실업이 비상이다. 전체 실업률은 낮아지고 있으나 청년실업률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4년제 대학 출신들은 취업경쟁에서 석박사와 해외 유학파에게 밀리고, 고졸자는 대졸자에게 밀리면서 구직난이 가중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청년실업 증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보고서(이상우촵정권택 수석 연구원)에 따르면 2003년 2월말 청년실업률은 8.7%로 전체 실업률 3.7%의 2배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003년 1~2월의 전체 실업률은 낮아졌으나 청년실업률은 오히려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실망실업자, 비정규직 취업자 등을 고려하면 실제 청년실업률은 10%를 웃돌 것이라는게 지배적이다.

특히 청년실업 중 대졸 이상 고학력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청년실업 중에서 고졸 이하 실업자의 비중이 줄어들고 전문대를 포함한 대졸 이상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 고학력의 젊은 여성들의 사회진출 욕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취업 기회가 따라주지 못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더욱 안 좋은 소식은 향후 경기 전망이 불투명하고 신규 고용창출이 어려워 높은 청년실업률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대학에서 배출한 인재를 수용하는 곳이 기업이라 봤을 때 이는 심각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기업의 대학에 대한 연구촵개발 투자가 줄어들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기업들이 신규 졸업자를 채용하기보다 경력직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 있어 청년 실업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눈높이 차는 기업의 자작극?
1997년 채용자 구성비는 신규가 63.1%, 경력이 29.2%였으나, 2001년에는 각각 22.1%와 62.3%로 상황이 완전히 역전됐다. 기업들은 양성을 위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신규인력 채용을 줄이는 대신에, 즉시 활용 가능한 경력직 인력을 수시로 선발하고 있다.
이른바 기업의 인적자원 활용 패러다임이 필요한 인력을 육성하는 방식에서 우수 인재를 외부에서 수혈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술변화가 빠른 상황에서 신규 졸업자에 대한 추가 교육을 투자가 아닌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다.

대학 졸업자의 질적 수준이 기업의 요구에 미달하고 있고 고급인력 시장은 오히려 부족이 심화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바로 이점이 기업이 ‘책임회피’라는 소리를 듣고 있는 대목이다.
대학교육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고 개혁이 지연되면서 경쟁력이 있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기업 스스로가 양성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 몫을 대학에 전가시킨 채 대졸자의 질적 수준을 질책하는 것은 ‘책임회피’라는 것.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핵심인재를 경력자로 수혈하면서 대학에 책임을 묻는 것은 ‘면죄부’라는 베일만을 쓰고 있는 처사라는 지적이다.

때문에 기업에서도 외환위기시 단기 실업대책으로 도입됐던 인턴제를 정규직 일자리로 연결시키는 매개체를 정착시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는 청년층의 안정적 취업을 돕고 기업의 신규인력 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방안으로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부에서도 인턴제를 실시하는 기업에 대해 고용보험 혜택과 조세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노동시장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최소한의 사회 안전망을 확충하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국내 전문 인력들이 해외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해외 직업탐색과 일자리를 연결시켜주는 중계 사업도 해야 함은 물론이다.


기업, 대학의 목마름 ‘나 몰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단기적 고용조정을 넘어 전략적 인력운영을 도모하는 데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즉 단기 시각에서 신규채용을 기피하고 인력 구조조정에 치중해서는 곤란하다. 인력 구조조정은 단기적으로는 기업 수익을 높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직 구성원의 애사심을 약화시켜 기업의 성장기반을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은 학교가 배출한 인재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인재양성 과정에 기업요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산학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것은 기본,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해 대졸자들을 기업으로 흡수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산학공동과정 개설 등은 핵심인재 확보와 인력공급원 유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각 기업에서도 산학연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대학의 목마름을 해갈시켜주기에는 미미하다. 각 대학에서도 신입생 유치 경쟁 못지않게 취업경쟁이 치열한 점을 감안한다면 기업에서 좀더 강력한 ‘가뭄대책’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한경리크루트 2003-07] 박성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