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범답안은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상태바
모범답안은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 한경리크루트
  • 승인 2003.08.11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VER STORY


모범답안은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기업은 경쟁력을 갖춘 핵심인재를 원한다. 대학은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한 종합교육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기업은 신입사원을 실무에 바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대학이 기업체 중심의 교육을 해줄 것을 원한다. 대학은 기초학문을 바탕으로 윤리와 비판정신에 눈뜬 내실 있는 인재를 육성하길 원하다.

서로의 눈높이 차이가 나다보니 이 둘의 함수 관계는 요원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대학과 기업은 ‘천적’의 관계가 아닌 ‘공생’의 관계라 봤을 때 서로의 불만사항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학에서 배출한 인재를 수용하는 곳이 기업이라 봤을 때 대학도 기업의 요구대로, 기업은 대학에 아낌없는 투자를 해야 한다. 대학의 시대착오적인 탁상행정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회피로 ‘청년실업자’를 대량 양산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맞지 않기 위해서는 말이다.

때문에 기업이 산학연 협력과 인턴제 등 대학에 좀더 직접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학계, 산업계, 유관기관 사이에 공동계획과 지도 하에 장차 산업계에서 일을 하고자 하는 학생을 상호 협동해 교육 훈련의 실리를 추구하는 동시에 산업경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산학연 협력이 적극 활용돼야 한다는 것.

근래까지의 산학연 협력은 주로 과학기술분야에서 주로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인문촵사회과학 분야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 걸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문/사회과학분야로 범위가 확대되면서 대학이 지역사회의 사회/문화를 선도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얻고 있다.

산학연 협력은 그 영역에 따라 교육을 위한 산학연 협력과 연구/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연구/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력은 상당히 활성화돼 있다. 하지만 교육부문의 산학연 협력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분야만큼 활성화돼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수오 전(前) 창원대학교 총장은 “일례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현장실습을 시키기 위해 산업체의 협조를 구하면 응하는 업체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학생을 교육시킨다는 목적보다는 당장 필요로 하는 일용인력으로 사용하는 병폐가 있다”고 지적했다.


쌍방 불신감 ‘진로방해’
아울러 이 전 총장은 “산학연 협력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며 “그 근본적 이유로 관련 당사자들 사이의 신뢰가 아직은 형성돼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산업체와 대학 사이의 신뢰성은 과거보다 많이 개선됐지만 아직도 일부 상호 불신감이 남아 있다고 이 전 총장은 설명했다. 산업체의 입장에서 볼 때, 과거부터 대학이 기업에 필요한 기술개발이나 선행 기초연구를 충실히 수행해 오지 못했고, 충분한 혜택도 주지 못했을 뿐 아니라 기업으로부터 받기만 해 온 곳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

대학의 입장에서도 기업이 지나치게 단기성과 위주의 결과를 대학에 요구하거나 기업의 필요만을 강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른바 대학과 기업간의 상호 불신감이 산학연으로 가는 길을 ‘진로방해’하고 있는 것이다.
근래에는 산업체에 국가에서 많은 지원을 해 준 결과 대가를 지불하는 산학연 협력보다는 무임승차를 하려는 경향이 팽배해 진다는 의견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 전 총장은 “그동안 산학연 협력은 정부에 의해 주도적으로 진행된 경향이 있었다”며 “이 과정에서 정부부처간의 정책조정이 이뤄지지 않아 중복되는 사업이 있기도 했다”고 귀띔했다.


기업 ‘마인드 전환’ 시급
또 “지방자치제도의 도입과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따오기 명목의 사업을 벌인 것이 사실”이라며 “이 과정에서 국가산업발전이라는 거시적인 관점보다는 정치적 논리에 의해 좌우된 점들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대학이 지역발전의 핵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지역의 대학과 산업체를 연계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재정지원 등을 이유로 산업체와 대학을 통제한다는 구태의연한 생각을 일부 갖고 있다는 것이 이 전 총장의 지적이다.

문제는 일부 기업들이 아직도 산학연 협력은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산학연 협력의 확산을 위해서는 기업의 ‘마인드의 전환’이 시급히 선행돼야 한다.

이 전 총장은 “클린턴 행정부에서 미국 교육개혁을 총괄했던 엘 고어 부통령은 99년 ‘American Learning Exchange’라는 사이트를 공개하면서 기업의 교육투자는 설비투자보다 3배나 높은 투자 효율을 보장한다”고 말했을 정도로 산학연의 시너지 효과를 설명했다.

때문에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과 기술을 대학에서 공급해 주길 원한다면 스스로 투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일례로 기업에서 바로 일을 시킬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주문식 교육을 원한다면 일정부문(전체 전공분야에 대해 20명 이상) 채용을 보장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 기업에서 이만한 인력을 채용하기 곤란하다면 동종업체끼리 컨소시엄을 형성해 주문교육과정을 도출하는 방식도 적극 검토돼야 할 것이다. 이럴 때만이 대학에서도 주문식 교육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아울러 “이미 많은 전문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직업교육을 4년제 대학에서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한 이 전 총장은 “대학별로 천편일률적인 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을 시행하기보다는 지역사회와 학생의 요구 그리고 대학의 가용자원 등을 고려해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경리크루트 2003-07] 박성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